SF-36을 이용한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4 03:43
본문
Download : SF-36을 이용한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hwp
이에 Goldberg(1978)의 일반건강조사표(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60문항을 기초로 장세진 등(1994)이 우리나라에 맞게 재구성한 Psychosocial Well-being Index가 건강의 긍정적인 측면을 보완하여 근로자들의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測定) 도구들은 행동적이며 신체적인 증상들을 내포하고 있고, 건강의 부정적인 측면을 취급함으로써 또 다른 측면인 긍정적 측면을 간과한 오류를 범하였음을 지적하였다.
다.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Cornell Medical Index를 이용하여 일부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수준을 비교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며(방찬호와 맹광호, 1988; 윤순옥과 맹광호, 1988; 황인담 등, 1988), 정신건강 및 심리적 안정상태에 관련되어는 SCL-90(김광일과 원호택, 1978; 차봉석과 박종구, 1986; 최정애, 1982)이 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포괄적인 건강개념(槪念)을 내포하고 있는 외국에서 개발된 조사표가 문호성 등(1993)에 의해 Notingham Health Profile이, 이성희 등(1995)에 의해 COOP Charts가, 고상백 등(1997)에 의해 SF-36이 번역되어 그 유용성에 대한 방법론적인 고찰을 하여 고무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따
이 중 SF-36은 최근에 고안되어 수정보완된 것으로 8개 항목 36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임상 연구 및 보건 정책 평가, 노동인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사용될 수 있으며, 신체적, 정신적 상태를 비롯한 건강에 effect(영향) 을 끼치는 전반적인 면을 다루고 있따 여러 연구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으며 다양한 임상 결과를 추출해…(skip)
SF-36을 이용하여 근로자들의 건강수준을 평가하였으며 건강수준과 인구학적 특성이나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알아보았습니다. 80년대 이르러서는 자기평가에 의한 건강의 주관적 측정(測定) 이 설문지에 의한 조사방법에 의해 활발히 이루어 졌다.up근로자들의건강수준 , SF-36을 이용한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순서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up근로자들의건강수준






Download : SF-36을 이용한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hwp( 59 )
I. 서 론
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資料수집 방법
2. 조사도구
3. analysis(분석) 방법.
III.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characteristic(특성)
2. 근로자들의 일반적 건강수준
3. 사회인구학적 characteristic(특성)에 따른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비교
4. 사회적 지지에 따른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비교
IV. 고 찰
V. 결 론
VI. 출처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초기에는 영아사망률, 모성사망률, 이환율(합병증, 전염병 등), mean or average(평균) 수명등 간접적 측정(測定) 방식에 의해 건강수준을 파악하였다.
SF-36을 이용한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
SF-36을 이용하여 근로자들의 건강수준을 평가하였으며 건강수준과 인구학적 특성이나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알아보았습니다.